thumbnail

B. 정산 단가 설정

조직 내부 기준에 따라 정산 단가 등 기준을 설정하세요.

카택스Biz2025-09-09

  • 위치 : 지출 > 유류비 정산 > 정산 단가 설정

  • 조직 내부 기준에 따라 정산 단가 등 기준을 설정하세요.

  • 유종별, 차량별 연비 기준에 따라 설정할 수도 있어요.

  • 정체 구간이나, 차량 지원금 등 기준을 추가해 다양하게 운용해 보세요.

  • 위치 : 지출 > 유류비 정산 > 정산 단가 설정 > 유류비 단가 설정

  • 유류비 단가 설정 방식을 다양하게 제공하고 있어요.

  • 선택가능 : 일괄 단가 정산, 유종별 단가 정산, 차량 연비 정산*

차량 연비 정산에서의 유가 결정 방식

→ 한국석유공사의 유가데이터를 바탕으로 산정하며,

→ 정산 기간의 평균 금액으로 유가를 결정합니다.

  • 전국 평균 유가로 반영하고 있습니다.

  • 차량 등록 시 연비 미입력하면, 차량 연비 정산에서 입력한 기본 연비 로 반영됩니다.

  • 유가는 매일 자정에 산정됩니다.

    → 당일 정산하면, 시간대 별 유가가 다르게 반영될 수 있어요.

    → 정확한 정산을 위해서, 정산 기간 마지막 날의 다음 날 정산 진행을 추천드립니다.

  • 위치 : 지출 > 츄류비 정산 > 정산 단가 설정 > 추가 지급 설정

  • 회사의 정책에 맞춰서 유류비 외에 추가 금액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.

서울 수도권 등 차량 정체가 많은 구간의 업무/출퇴근 이동이 많을 때 이 기능을 활용해 임직원의 업무 만족도를 높여보는 건 어떠세요?

정체구간 집계 원리

카택스 Biz APP 운행 시, 차량의 구간 별 거리와 속도 데이터가 기록되는데요. 이 데이터를 활용하여 정체 구간 추가금이 반영돼요!

500km 주행한 김카택 사원의 유류비를 계산해 봅시다!

→ 일반 주행 : 475km

정체구간 : 25km

정체구간 추가금 설정

→ 기본 유류비 : 250원/km

→ 정체구간 추가금 : 10km/h, 10% 추가 지급 설정

최종 유류비 계산

  1. 기본 유류비 : 500km x 250원 = 125,000원

  2. 정체구간 추가금 : 25km x 250원 x 10% = 625원

  3. 최종 유류비 (1+2) = 125,625원

유류비 정산 방식이 어떻게 되나요?

카택스에서 제공해드리는 유류비 정산 방법은 아래 방식으로 진행 됩니다.

정산 단가 설정은 총 3가지 방법으로 설정할 수 있어요.

  • 일괄 단가 정 산 : 유종 상관없이 동일한 단가로 정산할 수 있어요.

  • 유종별 단가 정산 : 유종별로 직접 1km당 단가를 설정해 정산할 수 있어요.

  • 차량 연비 정산 : 한국석유공사에서 제공하는 평균 유가를 연동해서 정산할 수 있어요.

정산 단가 설정을 모두 마치고, 아래 방법으로 정산 진행해 주세요.

  • [정산 단가 설정 → 월 설정 → 유류비 정산하기] 순서대로 해 주세요.

  • 유류비 정산은 운행거리, 연비, km당 단가를 기준으로 자동 계산됩니다.

📌 만약, 정산 후 금액이 변경이 된다면 유가변동이 있어 ±1~3원씩 발생 할 수 있는점 참고해 주세요!

전기차는 단가 설정을 어떻게 하나요?

전기차 충전 요금은 충전 방식, 장소, 회원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.

  • 전기차 충전 요금은 100~500원/kWh으로 분포되어 있는데요.

  • 일부 기업의 경우 휘발유랑 동일하게 책정하거나,

  • 전기차에 대한 비용 지원 정책을 따로 수립하는데요.

    → 단순 비교를 통해 휘발유/경유 차량 대비 40~50% 정도 저렴하게 1km당 비용을 책정할 수 있습니다.